X
본당 소식
본당 소식 미사강론

미사강론

2024년 9월 19일 연중 제24주간 목요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24-09-19 조회수159

복음

<이 여자는 그 많은 죄를 용서받았다. 그래서 큰 사랑을 드러낸 것이다.>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7,36-50

그때에 36 바리사이 가운데 어떤 이가

자기와 함께 음식을 먹자고 예수님을 초청하였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는 그 바리사이의 집에 들어가시어 식탁에 앉으셨다.

37 그 고을에 죄인인 여자가 하나 있었는데,

예수님께서 바리사이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시고 계시다는 것을 알고 왔다.

그 여자는 향유가 든 옥합을 들고서 38 예수님 뒤쪽 발치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분의 발을 적시기 시작하더니 자기의 머리카락으로 닦고 나서,

그 발에 입을 맞추고 향유를 부어 발랐다.

39 예수님을 초대한 바리사이가 그것을 보고,

저 사람이 예언자라면, 자기에게 손을 대는 여자가 누구이며 어떤 사람인지,

곧 죄인인 줄 알 터인데.’ 하고 속으로 말하였다.

40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시몬아, 너에게 할 말이 있다.”

시몬이 스승님, 말씀하십시오.” 하였다.

41 “어떤 채권자에게 채무자가 둘 있었다.

한 사람은 오백 데나리온을 빚지고 다른 사람은 오십 데나리온을 빚졌다.

42 둘 다 갚을 길이 없으므로 채권자는 그들에게 빚을 탕감해 주었다.

그러면 그들 가운데 누가 그 채권자를 더 사랑하겠느냐?”

43 시몬이 더 많이 탕감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옳게 판단하였다.” 하고 말씀하셨다.

44 그리고 그 여자를 돌아보시며 시몬에게 이르셨다.

이 여자를 보아라.

내가 네 집에 들어왔을 때 너는 나에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자기의 머리카락으로 닦아 주었다.

45 너는 나에게 입을 맞추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내가 들어왔을 때부터 줄곧 내 발에 입을 맞추었다.

46 너는 내 머리에 기름을 부어 발라 주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여자는 내 발에 향유를 부어 발라 주었다.

47 그러므로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이 여자는 그 많은 죄를 용서받았다. 그래서 큰 사랑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적게 용서받은 사람은 적게 사랑한다.”

48 그러고 나서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49 그러자 식탁에 함께 앉아 있던 이들이 속으로,

저 사람이 누구이기에 죄까지 용서해 주는가?’ 하고 말하였다.

50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에게 이르셨다.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평안히 가거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하느님과의 관계

(2024.09.19. / [] 연중 제 24주간 목요일)

 

   오늘 복음에는 예수님과 제자들, 바리사이, 그리고 온 고을에 죄인으로 손가락질받던 여자가 등장합니다. 요한 복음에 마리아로 소개된 이 여인은, 예수님 앞에 나아와 그분의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쏟습니다. 예수님 시대에는, 잔치하는 집은 문을 활짝 열어두어 초대받지 않더라도 함께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죄인으로 알려져 있던 사람이, 바리사이의 집에 들어가는 데에는 큰 결심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그녀가 비난을 무릅쓰고 예수님께 나아온 이유를, 예수님께서는 아주 간결한 비유로 대신 설명하십니다. 이 여자는 그 많은 죄를 용서받았기에 큰 사랑을 드러낸 것이다. 적게 용서받으면 적게 사랑한다.”

 

   우리에 앞서 순교와 헌신의 길을 걸으신 신앙 선조들이 하느님을 끝까지 사랑할 수 있었던 것은,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여인처럼, 그리고 예수님께로부터 하느님의 이름으로 죄를 용서받은 사람들처럼, 하느님의 큰 선물에 대한 보답으로 나의 가장 소중한 것을 드리겠다는 결심이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러분은 하느님께 어떤 선물을 받으셨습니까? 우리는 과연 하느님께 무엇을 받았을까요? 내가 소중하게 여기는 모든 것이 하느님께로부터 온 것이라는 사실을 마음으로 깨닫지 못한다면, 손님의 의중을 세심히 파악하지 못한 주인처럼, 하느님의 사랑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할 것입니다.

 

   같은 미사에 참여하면서도 사람들은 모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믿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비천한 죄인을 불러 주심에 감사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것저것 청하려고만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같은 모습의 봉사와 봉헌, 기도와 활동 안에서도 누군가는 자신의 것을 하느님께 드린다고 착각합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바리사이는, 자신이 예수님께 공들여 대접하고 있다는 사실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인이 어떤 심정으로 예수님께 나아와 그 값비싼 향유를 봉헌했는지는 관심조차 없었습니다. 여인은 예수님께 받은 은총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눈물을 흘리며 와서, 자신의 정성을 봉헌했습니다. 바리사이는 베풀었다고 여긴 것에 대한 보답을 바라보았고, 여인은 어떻게 보답할지를 생각했습니다.

 

   우리가 가진 것은 모두 주님께로부터 왔습니다. 모두 받아 누리고 있는 것이니 그저 감사드릴 뿐입니다. 바리사이는 끝내 용서와 자비를 체험하지 못하였지만, 여인은 모든 것을 사랑과 은총으로 체험합니다. 여러분은,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를 깨달은 죄인이십니까, 아니면 하느님과 거래하는 사람이십니까? 지금, 하느님 앞에 어떤 모습으로 나와 있습니까?

 

그 두 사람 가운데 누가 그 채권자를 더 사랑하겠느냐?” “더 많이 탕감받은 사람이겠지요.”

여자는 많은 죄를 용서받았고, 큰 사랑을 드러냈다. 적게 용서받은 사람은 적게 사랑한다.”

파일첨부                        
이전글 2024년 9월 20일 연중 제24주간 금요일
다음글 2024년 9월 18일 연중 제24주간 수요일